에너지분야 학술행사가 8월 14일 수요일 대전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되었다. 45명의 과학기술인이 참석한 이번 학술행사는 태양광 분야의 차세대 여성과학기술인들의 연구 공유와 네트워킹을 목적으로 개최되었다.
Tran Thi Thanh Huyen 학생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은 ‘Mitigating voltage loss in wide-bandgap perovskite solar cells by implementing fluorinated aromatic ammonium halides for tandem solar cell applications’를 주제로 페로브스카이트를 활용한 tandem 태양전지의 연구 동향을 발표하고 효율 향상과 안정성 개선 측면에서 현재 연구하고 있는 결과를 공유하였다.
박하경 학생연구원 (이화여자대학교)은 ‘Charge carrier transport at surface and interface in flexible chalcogenide solar cells’를 주제로 Chalcopyrite계 화합물 박막 태양전지인 CZTSe의 flexible application을 위한 특성 분석 연구를 발표하였다.
김민서 학생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은 ‘Development of AI based technology for evaluation of PV cell manufacturing process’를 주제로 태양전지 제조 공정의 수율향상과 단가절감을 위해 인공지능을 활용한 AOI (automation optical inspection) 기술을 구현에 대해 발표하였다.
Sabeen Zahra 학생연구원 (한국화학연구원)은 ‘A Comparative Study of Inner and Outer Branched Side Chains Effect on Photovoltaic Properties of Y6-based NFA for Organic Solar Cells’틀 주제로 고효율 대면적 유기 태양전지 제작을 위한 신소재 분야를 발표하고, 대면적화를 위한 구조 배치와 필름처리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황지선 학생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은 ‘Performance enhancement of ACIGS solar cells by controlled Ag incorporation-timing’을 주제로 CIGS(Cu(In,Ga)Se) 화합물 박막 태양전지 공정에서 광흡수층 제작 시 은을 추가하여 밴드갭을 조절하고 CIGS의 결정성을 키웠으며, 은이 광흡수층에 투입되어 전기적 특성이 향상된 현상을 확인하고 물리적인 모델을 이용해 메커니즘 규명에 대해 참석자들과 공유하였다.
이어진 멘토링 시간에는 태양광 분야 향후 전망, 태양광 분야 여성과학자로서 학생들의 연구 동기와 열정을 고취시킬 수 있는 연구 방법 및 노하우를 공유하였다.
![]() |
---|
▲ 에너지분야 학술행사 |